The Best Non-clinical Service
GLP 인증기관 코아스템켐온(주)
The Best Non-clinical Service
사람과 생명을 생각하는 기업 코아스템켐온(주)

새소식 및 공지사항

코아스템켐온에서 기술을 도입한 심장독성오가노이드 연구책임자 수상소식

KIT, 올해 우수연구 '심장오가노이드 활용 심장독성 영향평가' 기술

[대전=뉴시스] 김양수 기자 = 안전성평가연구소(KIT)는 5일 2024년도 우수연구성과와 올해의 우수연구자를 선정해 발표했다.

KIT는 연구자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우수한 성과 홍보, 과학기술 확산 등을 위해 매년 과학,기술,사회적 가치 등을 반영한 우수성과 5선을 선정하고 있다.

이번에 최종 선정된 우수성과는 ▲심장오가노이드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심장독성 영향 평가 개발 및 기술 이전(첨단예측연구본부 이향애 책임연구원 외 2명) ▲미세플라스틱의 환경오염물질 흡착 기전 및 영향 규명(경남바이오환경연구본부 장민희 선임연구원 외 1명) ▲COVID-19 대응을 위한 신약의 독성평가(차세대비임상연구본부 박상진 선임연구원 외 2명) 등이다.

또 ▲과불화화합물의 뇌에 대한 독성 규명(차세대비임상연구본부 고문이 연구원 외 4명) ▲기저질환모델 기반 화학물질 특성에 따른 흡입 독성 영향 평가(전북첨단바이오연구본부 전슬기 선임연구원 외1명)도 2024 우수성과로 선정됐다.

이 중 첨단예측연구본부 이향애 박사팀이 일궈낸 오로라 키나아제 억제제를 이용하는 심근세포 및 심장 오가노이드 제조방법과 심장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심부정맥 영향평가 기술개발 및 기술이전은 신약 및 독성 평가의 정밀성을 높일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.

이 기술은 기존 동물세포 및 조직을 이용한 모델과 달리 종간 차이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고 윤리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.

인간심장을 더욱 정밀하게 모사하는 모델을 구현, 심부정맥 유발 가능성이 있는 약물 독성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신약 후보 물질의 안전성을 사전에 검증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.

지난해 4월 코아스템켐온에 기술이전됐고 향후 심장 오가노이드 기반 비임상 플랫폼의 표준화 및 시험 서비스화를 통해 신약 개발 및 심장 독성평가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.

이런 공로로 이날 올해의 우수연구자로 첨단예측연구본부 이향애 박사가 선정됐다. 이 박사팀은 다년간 심장 오가노이드 기술을 기반으로 신약 개발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심장 독성 평가 플랫폼을 구축키 위한 연구를 수행해 왔다.

연구소 관계자는 "이번 기술개발과 민간이전은 정부출연硏-민간과의 상생협력 모범 사례로 평가된다"며 "이는 국내 비임상 연구역량을 높이고 글로벌 수준의 신약개발 및 안전성 평가기술 발전에 기여할 것"이라고 말했다.







TOP


비임상연구소
  • (우)17162,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남평로 240
  • Tel : 031-329-9900
  • Fax : 031-329-9902
  • E-mail : webmaster@csco.co.kr
  • Website : https//cro.corestemchemon.com/
경기바이오센터
  • (우)16229,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로 147 (이의동) 경기바이오센터, 15층
  • Tel : 031-526-9345
  • Fax : 031-888-6640
춘천바이오센터
  • (우)24232, 강원도 춘천시 소양강로 32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 BIO-3동 2-9호
북미 사무소
  • 1952 GallowsRoad Suite 110 Vienna,2VA 22182